우리나라의 건강검진은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만 20세 이상부터 누구나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매년 수검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 사무직은 2년마다, 현장직은 1년마다 검진을 하기 때문에 본인 차례가 언제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그러나 건강검진은 출생 연도에 따라서 수검이 결정되므로 내 출생연도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만 기억하고 있으면 쉽다. 이 글에서 2025년 건강 검진 대상자 확인하는 방법과 건강 검진 시 유의사항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건강 검진 대상자 확인 방법
건강 검진 차례가 도래하면 국민 건강 보험 공단에서 문자, 카톡, 우편 등으로 알림을 보내준다. 보통 우편을 받으면 내가 사는 지역의 건강 검진 가능한 병원의 위치와 전화번호가 작성된 책자까지 함께 보내주기 때문에 연말부터 연초까지 우편물을 꼼꼼하게 확인하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건강 보험 공단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아래 페이지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2025년 건강 검진 대상자
2025년은 홀수해다. 따라서 2025년 건강 검진은 홀수 연도에 출생한 사람이 대상자가 된다. 올해 검진을 받아야하는 홀수년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05년생, 2003년생, 2001년생, 1999년생, 1997년생, 1995년생, 1993년생, 1991년생, 1989년생, 1987년생, 1985년생, 1983년생, 1981년생, 1979년생, 1977년생, 1975년생, 1973년생, 1971년생, 1969년생, 1967년생, 1965년생, 1963년생, 1961년생, 1959년생, 1957년생, 1955년생, 1953년생, 1951년생, 1949년생, 1947년생, 1945년생, 1943년생, 1941년생, 1939년생, 1937년생, 1935년생, 1933년생, 1931년생, 1929년생, 1927년생, 1925년생
건강 검진 시 주의 사항
암 검진을 제외한 일반 검진 항목은 키, 체중, 혈압, 허리둘레, 비만도, 혈당, 시력청력검사, 흉부방사선, 혈액검사(혈색소, 공복혈당, 에이에스티(AST), 에이엘티(ALT), 감마지티피(γ-GTP), 혈청크레아티닌, 신사구체여과율(e-GFR)), 요검사, 구강검진을 실시한다. 이 중 혈액검사는 공복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지켜야할 사항이 있다.
- 전날 오후 9시 이후에는 금식을 유지해야 한다.
- 물과 같은 액체는 물론이고 껌도 금지된다.
- 금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날 오후 9시 이후에는 담배도 피우면 안된다.
- 검진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소 8시간 이상 금식을 통해 공복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건강 검진 결과 확인하는 방법
건강 검진 결과는 검진을 위한 병원에 방문했을 때 선택할 수 있다. 검진 전에 작성하는 설문지에 우편으로 받을지 이메일로 확인할지 선택하면 된다. 건강 검진 후 15일이 지나도 이 두 가지 방법으로 확인하지 못했을 때 아래의 건강 보험 공단 웹페이지에 접속해서 조회할 수 있다. 본인 명의의 휴대폰으로 간단하게 본인 인증을 하고 나서 건강 검진 결과 확인 섹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2025년 건강 검진 대상자 확인하는 방법과 검진 시 주의 사항, 건강 검진 결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리 예약하고 방문하면 검진 시간이 길지 않으니 올해 건강 검진 해당하는 사람들은 잊지 말고 건강 검진을 받길 바란다.
--
댓글